[23년 3월] 눈치게임

2023. 3. 27. 23:18Monthly News

분위기가 좋지 않습니다. 불황과 실업만으로는 납세자들의 세금으로 주주와 채권자들을 구해내는 것에 대한 정당성을 얻기가 어려워졌습니다. 마지막까지 춤을 출 사람은 누구일까요? 현명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1. 인천 아내 자녀 살해 가장 주식실패로 5억 채무(연합뉴스TV, 230320)

https://m.yonhapnewstv.co.kr/news/MYH20230320015800641

 

인천 '아내·자녀 살해' 가장…"주식실패로 5억 채무"

인천 '아내·자녀 살해' 가장…"주식실패로 5억 채무" 인천 미추홀구의 한 빌라에서 숨진 채 발견된 일가족 5명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숨진

m.yonhapnewstv.co.kr:443

 

2. 미국 정부 SVB 예금 전액 보증 뱅크런 줄도산 차단 주력(경향신문, 김유진 특파원, 230313)

요약 : 이어 “이 같은 조치는 납세자들의 어떤 손실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파산한 은행의 경영자들은 모두 해고될 것이고, (예금자가 아닌) 투자자들은 자본주의의 원칙에 따라 손실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링크 : https://www.khan.co.kr/world/america/article/202303132109005

 

바이든 “미 금융 안전”…SVB발 뱅크런·줄도산 차단 주력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후폭풍을 막기 위해 이 은행에 예치된 고객...

www.khan.co.kr

 

3. 블랙스톤, 7000억원 규모 부동산담보증권 디폴트(글로벌이코노믹, 김다정 기자, 230303)

https://news.g-enews.com/article/Global-Biz/2023/03/202303031608017558658ae4d6a0_1?md=20230303174435_U 

 

블랙스톤, 7000억원 규모 부동산담보증권 디폴트

세계 최대 사모펀드 기업인 블랙스톤이 2017년에 인수한 핀란드 자회사인 스폰다 오이가 소유한 사무실과 매장을 기반으로 한 5억6250만 달러(약 7329억원) 규모의 부동산 담보증권에 대한 디폴트

news.g-enews.com

 

4. 파산 SVB에 1389억 물린 국민연금 보호 않는 주식 채권 보유(머니투데이, 김근희 기자, 230315)

요약 : 앞서 미국 정부는 SVB가 파산하자 예금 전액을 보증하겠다고 밝혔지만, 주식·채권 등 증권은 보호 대상에서 제외했다.

링크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31517181994002 

 

'파산' SVB에 1389억 물린 국민연금…보호 않는 주식·채권 보유 - 머니투데이

"매도 진행상황 등 면밀히 모니터 계획"국민연금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실리콘밸리은행(SVB) 주식과 채권을 1389억원어치 보유하고 있던 것으로 나타...

news.mt.co.kr

 

5. 세계 최대 채권운용사 CS채권으로 4500억 날려(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230321)

요약 : AT1은 유사시 투자 원금이 주식으로 강제 전환되거나 상각된다는 조건이 붙은 회사채다. 코코본드로 불린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유럽에 도입됐는데, 은행 구조조정시 납세자 대신 투자자들이 손실을 부담토록 한 조치의 일환으로 발행됐다. 이번 CS AT1의 상각 역시 이 채권에 붙은 조건에 따라 처리됐다.

링크 : https://www.asiae.co.kr/article/2023032115273881162

 

세계 최대 채권운용사, CS채권으로 4500억 날려

스위스 1위 은행인 UBS에 인수된 크레디트 스위스(CS)의 신종자본증권(Additional Tier 1, AT1) 가치가 전액 상각되면서 세계 최대 채권 운용사 핌코가 3억4000만 달러(약 4500억 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www.asiae.co.kr

 

'Monthly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8월] 터닝 포인트  (0) 2023.09.02
[23년 7월] 침몰하는 배에는 쥐가 없다  (0) 2023.07.31
[23년 6월] 불협화음  (0) 2023.07.02
[23년 5월] 다시 전진하는 시장  (1) 2023.05.28
[23년 4월] 각자도생  (0) 2023.04.28